카테고리 없음

위생기구에 사용되는 재료가 갖추어야 할 조건과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율빈아 2025. 6. 2. 21:46
반응형

🔷 [문제 9] 문제

위생기구에 사용되는 재료가 갖추어야 조건과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핵심 키워드

- 위생기구 재료 조건

- 내식성 / 내구성 / 위생성

- 세라믹 / 스테인리스 / ABS수지

- 유리질도기

- 위생기준 / KS규격

📘 모범답안

1. 서론

위생기구는 인체와 직접 접촉하거나 위생환경 유지에 직결되므로, 사용되는 재료의 성능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기구의 용도, 구조, 유지관리 방식 등을 고려한 재료 선택 기준과 표준화된 재료 종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2. 본론

1.     (1) 위생기구 재료가 갖추어야 조건

내식성 내구성
-
장기간 , 세제, 오수 등에 노출되어도 부식, 부패, 마모가 없어야
-
반복 사용 표면 열화 최소화

위생성
-
세균 번식 억제, 냄새 흡착 방지, 인체 유해물질 용출 방지
-
표면이 매끄럽고 세정이 용이해야

기계적 강도
-
충격, 하중에 견딜 있는 강도 필요
-
특히 양변기, 세면대 고정 구조물은 구조적 안정성 필수

심미성 유지관리성
-
공간과 조화를 이루는 색상 질감
-
내오염성, 관리의 용이성

환경 법규 적합성
-
환경부/국토부/KS 공인 위생 기준 충족
-
음용수 접촉부에 적합한 인증 재료 사용 필요

2.     (2) 위생기구에 사용되는 주요 재료의 종류

유리질도기
-
도자기 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입힌 소재
-
위생성, 내식성, 내오염성 우수
-
양변기, 세면기 가장 일반적인 위생기구 재질

도자기질
-
내열성 우수, 외관 심미성 뛰어남
-
주방 싱크볼, 소형 악세서리류에 사용

스테인리스강 (SUS304, SUS316)
-
높은 내식성과 기계강도
-
산업용 세면대, 병원 기구, 주방 싱크대 등에 적용

④ ABS
수지 / 합성수지
-
가볍고 내충격성 우수
-
저가형 제품이나 가정용 부속기구에 사용

⑤ FRP (
섬유강화플라스틱)
-
욕조, 샤워부스 등에 사용
-
성형 자유도가 높고 경량 구조 가능

법적으로 금지되는 재료
-
성분 포함 도금재, 미도포 플라스틱 등은 제한
-
식수 접촉 KS B 2308, KWWA 기준 충족 필요

 

3. 기술 해석 시각 예시

기준 요건 적용 흐름

- KS 인증 기준 + 내식·위생·기계강도 테스트
-
기구 용도별 권장 재료 적용 매트릭스

시각 예시

- 제품별 재료 구조 단면도 (세면기, 양변기 )
-
재료별 성능 비교 차트 (내식성, 강도, 위생성 )

4. 결론

위생기구 재료는 단순한 조형적 선택이 아닌 성능, 위생, 안전, 환경 기준을 모두 고려한 복합적 기술 판단의 결과로 결정되어야 한다.
기술사는 건축물의 용도, 사용빈도, 위생등급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재료를 선정하고, 관련 규정 인증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