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장님 주목! 직원 한 명 뽑을 때 4대보험 얼마 드나요? 😱
세금보다 무서운 4대보험?! 진짜 얼마 나가는지 찐계산 해봄!
👀 사장님들~ 요즘 직장 하나 꾸리기도 쉽지 않죠?
직원 뽑고 나서 월급 주는 것도 부담인데,
거기다 4대보험까지…! 와 진짜 숨 막히는 현실이에요ㅠㅠ
이게 진짜 생각보다 많이 나가거든요. 한 달에 몇 십만 원씩!
근데 정확히 얼마 나가는지 계산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저도 맨날 감으로만 ‘한 30만 원쯤?’ 하다가
실제로 보고 깜놀했답니다;;;
세금은 연말정산으로 돌려받을 수도 있지만
4대보험은 그냥 빠져나가는 돈이라 더 아깝게 느껴지는 거 있죠?!
그렇다고 안 낼 수도 없고…
오늘은 이 4대보험, 도대체 어떤 구성인지,
그리고 사업자가 얼마를 부담해야 하는지를
솔직하고 현실적으로 알려드리겠슴미다! 💥
👇 아래 내용 꼭 참고하셔야 합니다
직원 한 명 뽑을 때마다 돈이 어떻게 빠져나가는지
보면 볼수록 놀라울 수 있어요…💸
1. 4대보험이란 뭐뭐 있는 거쥬?
일단 기본적으로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이렇게 네 가지임다!
이거... 그냥 이름만 들으면 되게 당연히 내야 하는 것 같쥬?
근데 막상 사장님 입장에서 보면, 직원 한 명 늘 때마다 이 네 가지가 동시에 팍팍 나가니 부담이 크다구요ㅠㅠ
각 항목마다 사업자와 직원이 부담하는 비율도 다르고, 기준도 다 달라서 더 헷갈림다;;;
그래서 그냥 ‘어느 정도 나가겠지~’ 하고 대충 넘기기 쉬운데, 그렇게 하면 진짜 큰일 나는 거... 저만 그런 거 아니죠?!
2. 국민연금, 생각보다 꽤 나감!
국민연금은 사업자랑 직원이 반반씩 부담하는 구조인데요~
2025년 기준으로 총 9% 중에서 4.5%를 사업자가 내줘야 해요!
예를 들어 직원 월급이 300만 원이라면 사업자는 약 13만 5천 원 정도를 국민연금으로 내야 함다.
이게 또 해마다 올라간다 어쩐다 말이 많아서, 장기적으로는 더 부담될 수도 있다구요 ㅠㅠ
연금이 미래를 위한 투자라지만… 당장 월급날 앞두고 이 돈 나가면 마음이 아프쥬 ㅋㅋ
3. 건강보험, 거기다 장기요양보험까지?!
건강보험은 총 7.09%인데 사업자가 반인 3.545%를 부담해야 하구요.
여기서 끝이 아니고요~ 장기요양보험료도 추가로 나가는데 이건 건강보험료의 12.81%를 따로 더 내야 돼요;;;
헷갈리죠? 요거 계산 안 하면 나중에 고지서 보고 화들짝 놀랄 수 있음다;;
직원 월급이 300만 원이라면 건강보험만 해도 10만 원 넘게 사업자가 부담하게 된다는 거~
이게 복리후생이라지만… 사장님 입장에선 ‘복리부담’ 쪽에 가까움다ㅋㅋㅋ
4. 고용보험, 실업급여는 누가 챙기나?
고용보험은 총 1.8% 정도 되는데요, 이 중 사업자는 0.9~1.15%를 부담함다.
근데 이건 업종에 따라 비율이 달라서 정확한 수치를 꼭 확인해야 해요!
또 요즘엔 실업급여율도 높아지고, 고용유지지원금 같은 제도도 늘어나면서
고용보험은 단순한 실업 대비 보험 이상으로 변하고 있음!
그래서 이런 제도 잘 활용하면 좋긴 한데… 어쨌든 그 전에 돈부터 빠져나가쥬 ㅠㅠ
매달 몇 만 원씩 꾸준히 빠지는 고용보험도 쌓이면 꽤 큰 부담임다;;;
5. 산재보험, 직원 보호인데 왜 이렇게 아깝죠 ㅠㅠ
산재보험은 사업자 100% 부담이라는 점!
직원이 내는 게 없고, 오롯이 사장님이 부담하셔야 함다~
요건 업종마다 요율이 천차만별인데, 보통 0.7%~30%까지도 가요!
건설업 같은 고위험 업종은 진짜 많이 나가쥬 ㅠㅠ
저도 처음엔 ‘설마 그렇게까지?’ 했다가 고지서 보고 기절하는 줄;;
그래도 사고 났을 때 보상 안 해줘도 된다는 큰 장점이 있으니, 이건 그냥 필수로 챙기셔야쥬!
6. 결국 직원 1명당 얼마가 나갈까?!
이 모든 걸 종합하면, 월급 300만 원 기준으로
사장님이 부담해야 하는 4대보험은 약 40만 원 전후로 보시면 됨다!
헉… 직원 월급 외에 거의 13~15%가 추가로 나가는 셈이쥬;;;
이러니 직원 1명 뽑기도 망설여지는 현실… 공감하시쥬?
근데 또 안 뽑으면 일손 부족하고, 뽑으면 보험비로 지출 크고…
그래서 결국 ‘인건비 줄이기 vs 효율성 확보’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민하게 되더라구요ㅠㅠ
이게 진짜 사업자의 딜레마임다 😩
📌 요것도 궁금하셨쥬?!
월급 외에 따로 보험료 따로 내야 하나요?
👉 따로 안내려도 됩니다~ 직원 월급에서 반, 나머지는 회사 부담으로 자동 계산되어 고지서 나와요! 다만 매월 고정비로 나가니까, 급여 설정할 때 미리 고려하셔야 마음 편함다~
4대보험 안 주고 알바처럼 처리하면 되나요?
👉 음… 그건 편법이쥬;; 당장은 문제 없어 보여도, 나중에 신고 들어가면 과태료에 벌금까지 올 수 있음! 특히 장기근속자나 주40시간 이상 근무자라면 꼭 4대보험 가입하셔야 함미다. 무서워요 진짜ㅠㅠ
인건비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요?
👉 가장 좋은 방법은 ‘최적의 인력 배치’와 ‘정부 지원금 활용’임다! 일자리 안정자금이나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같은 거 잘 챙기면 꽤 도움됨! 고용노동부 사이트나 노무사 상담 받아보시는 것도 강추!
💬 그래도 어쩌겠어요, 내 직원이니까요!
진짜 솔직히 말씀드리면…
4대보험은 돈만 보면 억울하고 아깝고 속상하쥬ㅠㅠ
근데 또 직원들 생각하면 안 할 수도 없는 필수 항목이니까요…
이왕 내는 거 꼼꼼하게 알고, 줄일 수 있는 부분은 줄이고
활용할 수 있는 제도는 싹 다 챙겨야쥬!
저도 처음엔 보험료 계산기 돌려보면서 충격 먹었었는데
이제는 월급 줄 때, 미리 보험료까지 계산해놓고 예산 잡아두니까
그나마 마음이 좀 편하더라구요~
🤔 여러분도 이런 경험 있으셨나요?
직원 한 명 뽑아놓고, 예상보다 많이 나가는 4대보험에
멘붕 오신 경험… 혹시 있쥬? ㅋㅋ
아니면 요즘 같은 시국에 4대보험 때문에
알바로 돌릴까 고민 중이신 분들도 계실 거 같고요~
여러분의 경험이나 생각도 넘 궁금합니당!
댓글로 자유롭게 이야기 나눠주세용~
같이 공감하면서 정보도 나눠보자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