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속득이야기/공모주

오름 테라퓨틱 공모주 청약 분석 임상 중단 & 기술이전, 투자 가치 있을까?

율빈아 2025. 2. 3. 23:11
반응형

오름 테라퓨틱스 공모주 청약 분석 – 임상 중단 & 기술이전, 투자 가치 있을까?

📌 메타 설명:
오름 테라퓨틱스 공모주 청약, 투자해도 될까? ADC & TPD 기술, BMS·버텍스 기술이전, 오름 5029 임상 중단 리스크까지! 기관 수요예측 결과 및 공모가 분석을 통해 투자 판단을 도와드립니다.


🔎 오름 테라퓨틱스 공모주, 투자해야 할까?

오는 2025년 2월 14일, 오름 테라퓨틱스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합니다.
항암제 개발 바이오 기업으로 기술이전 성과를 보였지만, 임상 부작용 문제와 수익성 불안정성이 우려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름 테라퓨틱스의 핵심 기술, 임상 현황, 공모가 분석, 기관 수요예측 결과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오름 테라퓨틱스는 어떤 회사?

오름 테라퓨틱스는 ADC(항체-약물 접합체) 기술을 활용하여 차세대 항암제를 개발하는 바이오텍 기업입니다.

📌 ADC(항체-약물 접합체)란?

ADC는 항체(Antibody)와 항암제(Drug)를 링커(Linker)로 연결한 표적 치료제입니다.
정상 세포는 보호하면서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
✔ 기존 화학항암제보다 부작용은 줄이고, 치료 효과는 높임

📌 오름 테라퓨틱스의 핵심 기술: DAC 플랫폼

오름 테라퓨틱스는 ADC + 표적 단백질 분해제(TPD)를 결합한 DAC(Degrader-Antibody Conjugate)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 암세포에만 정확하게 작용하는 정밀 항암 치료제 기술을 목표로 함.


2️⃣ 기술이전 성과 – BMS & 버텍스 계약 성공!

오름 테라퓨틱스는 현재까지 두 건의 기술이전(License-Out)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BMS(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 – 1억 8천만 달러 계약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제 후보물질 ‘오름 6151’ 기술이전
선수금 1억 달러 수령
문제점: 로열티 없음 → 제품 출시 후 추가 수익 없음

✅ 버텍스 파마슈티컬스 – 1,500만 달러 계약

TPD 기반 페이로드 원천 기술 수출
🚨 핵심 문제: 추가적인 수익 구조가 부족!
➡ 기술이전 계약금은 일회성 수익이라, 지속적인 매출 창출이 어려움.


3️⃣ 오름 5029 임상 중단 – 치명적 리스크?

오름 테라퓨틱스의 핵심 신약 후보물질 ‘오름 5029’는 미국에서 HER2+ 유방암 치료제로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 하지만 중대한 부작용이 발생하여 신규 환자 모집이 중단!

📌 원인: 링커(Linker) 기술 문제 가능성

🔍 전문가들은 “링커 결함 가능성이 높다”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링커가 중요한 이유?

  • 암세포에 도달할 때까지 항암제를 안정적으로 유지
  • 암세포에 도달하면 정확하게 약물을 방출해야 함
  • 오름 5029는 암세포에 도달하기 전 약물이 유실되었을 가능성

경쟁사들은 강력한 링커 기술 보유 (예: 리가켐바이오), 오름 테라퓨틱스는 아직 부족!
🚨 결론: 핵심 파이프라인 부재 위험!


4️⃣ 수익성 분석 – 실적은 일회성?

📊 실적 흐름을 보면…
✔ 2023~2024년: 기술이전 덕분에 실적 증가
✔ 하지만 2024년 4분기 영업적자(87억 원) 발생
🚨 기술이전 계약금이 끝나면 실적 악화 가능성이 크며,
장기적인 수익 모델이 부족하다는 것이 치명적인 문제입니다.


5️⃣ 공모가 분석 – 가격 메리트 있을까?

💰 공모가: 20,000원
🏢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 약 4,186억 원
📉 기관 수요예측 결과
경쟁률 16.93대 1 (매우 저조함)
참여 기관 수 적음 → 흥행 실패 가능성↑
기존 주주들의 매도 압력 우려 (공모가보다 낮은 가격에 보유 중)
결론: 가격 메리트 없음!
🏢 주관사: 한국투자증권


🔍 결론 – 오름 테라퓨틱스 청약해야 할까?

🚨 투자 리스크 요약
BMS & 버텍스 기술이전 성과
핵심 신약(오름 5029) 임상 중단 → 파이프라인 부재
링커 기술 부족 → ADC 경쟁력 약화
일회성 수익 구조 → 안정적인 실적 기대 어려움
공모가 2만 원, 기관 수요예측 부진 → 흥행 가능성 낮음
💡 최종 결론: 감내할 수준에서 균등만 참여

단기 수익을 노리기엔 기관 경쟁률이 낮고,
장기 투자로 보기엔 핵심 기술과 수익 구조가 불안정합니다.
📢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 더 많은 주식 분석 포스팅을 원하시면, 블로그 구독 & 공감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