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10] 문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기준(2025년 1월 1일 시행)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관리 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핵심 키워드
- 제로에너지건축물(ZEB)
- BEMS 설치기준
- 기능 중심 통합기준
- 필수 및 권장 항목
- 에너지자립률
-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통합
📘 모범답안
1. 서론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기준은 기존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와 통합되어, 에너지자립률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평가체계를 도입하였다. 이에 따라 건축물 에너지관리 시스템(BEMS)의 설치기준도 기능 중심의 통합기준으로 개편되었다.
2. 본론
1. (1) BEMS 설치기준의 개편 배경
기존에는 BEMS 또는 전자식 원격검침 계량기 중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었으나, 2025년부터는 기능 중심의 통합기준이 적용되어, 요구된 기능을 얼마나 충실히 구현했는지가 핵심 평가 요소가 되었다.
2. (2) BEMS 설치기준의 주요 내용
- 총 13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이 중 7개는 필수, 나머지는 권장 항목이다.
[필수 항목 예시]
- 에너지원별 데이터 수집 및 표시
- 에너지 소비 현황 분석
- 계측기 유지관리
- 시스템 설치 및 일반사항 등
[권장 항목 예시]
- 설비 성능 분석
- 에너지 소비 예측
- 자동 제어 연동 등
3. (3) 기존 기준과의 차이점
기존 BEMS 기준과 2025년 통합기준 비교:
- 데이터 수집: 필수 → 유지
- 정보 감시: 필수 → 권장 (완화)
- 설비 성능 분석: 필수 → 권장 (완화)
- 계측기 관리 → 종합유지관리로 명칭 변경 (필수)
- 시스템 설치 및 일반사항: 신설 항목으로 필수 적용
3. 기술 해석 및 시각 예시
▷ 기준 요건 적용 흐름
- BEMS 설치기준은 기능 중심으로 재편되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통합적으로 구현하도록 요구된다.
▷ 시각 예시
- BEMS 구성도: 에너지 데이터 수집, 분석, 제어 기능의 흐름도
- 기능별 요구사항 매트릭스: 필수 및 권장 항목의 구현 여부 체크리스트
4. 결론
2025년부터 시행되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기준에 따라, BEMS 설치는 기능 중심의 통합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기술사는 이러한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설계 초기 단계부터 BEMS의 필수 및 권장 기능을 반영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자본속득이야기 > 기술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공간 건축물의 효율적 공조를 위한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 2025.06.12 |
---|---|
중앙식 급탕배관의 계획 및 시공상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 2025.06.12 |
표준품셈 제도와 표준시장단가 제도를 비교하고, 표준시장단가를 적용하는 기계설비 공종을 설명하시오. (2) | 2025.06.02 |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에서 내용연수의 종류와 할인율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3) | 2025.06.02 |
레스토랑 주방과 바닷가 샤워실에 설치되는 포집기(Interceptor)의 구조 및 설치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2) | 2025.06.02 |